고래자리 카파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래자리 카파¹는 황색 왜성으로, 태양과 질량과 반경이 거의 같지만 광도는 85% 수준이다. 흑점 활동으로 인해 밝기가 변하는 BY Draconis 변광성이며, 자전 주기는 약 9일로 젊은 별에 속한다. 이 별은 태양보다 강력한 슈퍼플레어를 보이며, 태양과 유사한 물리적 특성으로 인해 과거 태양의 모습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또한, 자외선 방출량과 항성풍의 질량 방출률이 태양과 다르며, 지구 생명체의 탄생과 화성의 바다 소멸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는 과거 태양의 모습을 추정하는 데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G형 주계열성 - 뱀자리 람다
뱀자리 람다는 태양 질량의 약 2.7배인 분광형 A2V 주계열성으로, 외계 행성 람다 뱀자리 b를 거느리고 있으며 과거 분광 쌍성일 가능성이 있었으나 현재는 외계 행성계로 확인되었다. - G형 주계열성 - 센타우루스자리 알파
센타우루스자리 알파는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별계인 삼중성계로, 태양과 유사한 황색 왜성 A(리길 켄타우루스)와 A보다 작고 어두운 오렌지색 왜성 B(톨리만), 그리고 멀리 떨어져 중력적으로 연결된 적색 왜성 C(프록시마 센타우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프록시마 센타우리 주위를 도는 두 개의 행성이 확인되었다. - 고래자리 - 미라 (항성)
미라는 고래자리에 있는 변광성으로, 약 332일 주기로 밝기가 변하며, 적색 거성인 미라 A와 백색 왜성인 미라 B로 이루어진 이중성계이다. - 고래자리 - NGC 34
NGC 34는 1886년 프랭크 뮐러와 루이스 스위프트가 목록화했으나 관측 위치 차이로 인해 별개의 천체로 등재되었다가, 1900년 허버트 알론조 하우에 의해 불일치가 발견되어 NGC 두 번째 판에 반영된 신판 일반 목록에 등재된 천체이다. - 글리제 천체 - 시리우스
시리우스는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로, 8.6광년 거리에 있는 쌍성계이며, 고대 이집트에서 나일 강 범람 예측에 중요했고, 여러 문화권에서 신화와 전설의 중심이 되었으며, 색깔에 대한 역사적 논쟁과 에드먼드 핼리의 고유 운동 관측으로 알려져 과학과 대중문화에 널리 사용된다. - 글리제 천체 - HD 140283
HD 140283은 "메투셀라 항성"으로도 불리는 오래된 저금속성 항성으로, 추정 나이가 우주의 나이와 비슷하여 논란이 있으며, 왜소은하에서 기원했을 가능성과 낮은 금속 함량을 특징으로 하지만, 나이 측정에는 불확실성이 존재하며, 최근 연구들은 우주의 나이와의 모순을 줄이는 방향으로 나이를 재평가하고 있다.
고래자리 카파¹ | |
---|---|
기본 정보 | |
![]() | |
별자리 | 고래자리 |
겉보기 등급 | 4.84 |
변광성 유형 | BY Dra |
위치 정보 | |
시선 속도 | +19.9 |
고유 운동 (적경) | 269.30 ± 0.24 |
고유 운동 (적위) | 93.75 ± 0.22 |
연주 시차 | 109.41 |
연주 시차 오차 | 0.27 |
절대 등급 | 5.16 |
특징 | |
분광형 | G5Vv |
B-V 색 지수 | +0.674 |
U-B 색 지수 | +0.185 |
물리적 특징 | |
광도 | 0.85 |
표면 온도 | 5,708 |
표면 중력 | 4.51 |
금속 함량 | +0.05 |
자전 속도 | 4.5 |
자전 주기 | 9.2일 |
나이 | 3억–4억 년 |
명칭 | |
다른 이름 | B=κ¹ Cet, g¹ Tau F=96 Ceti BD=+02°518 FK5=1095 GCTP=691.00 GJ=137 HD=20630 HIP=15457 HR=996 LTT=11094 SAO=111120 NSV=1100 |
데이터베이스 링크 | |
Simbad | HD+20630 |
ARICNS | 4c00293 |
2. 항성의 특징
고래자리 카파¹는 태양과 비슷한 황색 왜성으로, 분광형은 G5Vv이다. 1943년 이후 이 별의 별 스펙트럼은 다른 별들을 분류하는 안정적인 기준점 중 하나로 사용되고 있다.
고래자리 카파¹의 자기적 특성은 "과거 지구의 중요한 시점에서 태양과 완벽하게 일치한다". 2016년에 보고된 자기장 측정에 따르면, 평균 자기장 강도는 24G이고 최대값은 61G이다. 별풍 모델에 따르면 질량 손실률은 현재 태양풍 질량 손실률의 50배에 달하며, 최근 자료는 이 별의 질량 손실률이 태양 질량 손실률의 100배나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 별의 공간 속도 구성 요소는 U=-22.41, V=-4.27, W=-5.32 km/s이다. 이 별이 특정 이동성단의 구성원인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2. 1. 물리적 성질
고래자리 카파¹는 분광형 G5Ve의 주계열성이다. 1943년부터 이 별은 G5 V형의 기준별로 사용되어 비슷한 별들의 분광형을 결정하는 데 쓰여 왔다. 질량은 태양과 거의 같고, 반지름은 태양의 약 95%이다. 광도는 태양의 약 85% 수준이다. 금속량(헬륨보다 원자량이 큰 원소의 존재비)은 태양보다 약간 높을 것으로 추정된다.이 별은 약 9일에 한 번 자전하여 태양보다 빠른데, 이는 수억 년 정도의 나이로 G형 분광형대에서 상대적으로 젊은 별임을 알려준다. 표면의 흑점으로 인해 밝기가 주기적으로 변하며, 자전 주기도 약간씩 다르게 측정된다. 흑점은 여러 위도에 걸쳐 나타나고, 유체인 항성의 자전 속도는 위도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밝기 변화 진폭도 다르게 나타난다. 이는 태양에서 관측되는 현상과 비슷하다.[23] 흑점은 위도 10°에서 75°까지 분포한다. 자기장 활동은 과거 젊은 지구에 태양이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연구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준다.
최근 가설에 따르면 태양 비슷한 크기의 항성에서 발생하는 강렬한 플레어는 그 주위를 도는 목성형 행성의 자기장과 항성 자기장이 서로 반응한 결과라고 한다. 분광형 F8 ~ G8의 태양 비슷한 항성들에서 태양 플레어보다 100 ~ 1000만 배 강력한 슈퍼플레어 현상이 나타나는데, 이때 항성 밝기는 순간적으로 20배까지 늘어난다. 카파1에서도 슈퍼 플레어가 관측된 바 있는데, 태양의 코로나 질량 방출보다 108 ~ 109배나 많은 에너지를 뿜었다.[24]

2. 2. 자전과 변광
고래자리 카파¹는 약 9일에 한 번 자전하는데, 이는 태양(약 25일)보다 훨씬 빠른 속도이다.[23] 이는 고래자리 카파¹가 수억 년 정도 나이의 비교적 젊은 별임을 알려준다.[23]이 별은 표면의 흑점 활동으로 인해 밝기가 주기적으로 변하는 용자리 BY형 변광성이다. 자전 주기는 위도에 따라 다른데(차등 자전), 흑점은 위도 10°에서 75° 사이에 분포한다. 이는 태양과 유사한 현상이다.[23] MOST 위성에 의한 자세한 측광 관측 분석 결과, 적도에서의 자전 주기는 약 8.8일이며, 이전 추정과의 차이는 자전이 차등 회전하고 있기 때문으로 밝혀졌다.
또한, 약 5.9년 주기의 장기적인 밝기 변화도 관측되며, 채층 스펙트럼도 이와 비슷한 5.6년 주기의 변동을 나타내므로, 이는 태양 활동 주기와 같은 활동 주기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2. 3. 플레어
고래자리 카파¹에서는 태양 플레어보다 훨씬 강력한 슈퍼플레어가 관측된 바 있다. 분광형 F8 ~ G8 사이의 태양과 유사한 별들에서 나타나는 슈퍼플레어는 태양 플레어보다 100배에서 최대 1,000만 배 더 강력하며, 항성 밝기를 순간적으로 최대 20배까지 증가시킨다.이러한 강력한 플레어는 항성 주위를 좁은 궤도로 공전하는 거대 행성의 자기장과 항성 자기장의 상호작용으로 발생할 수 있다는 가설이 제기되었다. 그러나 고래자리 카파¹ 주변에서는 시선 속도 측정 결과 거대 행성이 발견되지 않았다.
1986년 1월 24일 관측된 플레어는 중요도 2의 태양 플레어보다 약 7,000배 강력한 에너지를 방출했다.[1]
3. 태양과의 비교 및 연구
고래자리 카파¹는 분광형 G5Ve의 주계열성으로, 물리적 성질이 태양과 매우 유사하다. 1943년부터 이 별은 G5 V 분광형을 대표하는 기준별로 등록되어 비슷한 별들의 분광형을 결정하는 데 사용되어 왔다. 질량은 태양과 거의 같고, 반지름은 태양보다 5% 작지만, 광도는 태양의 85% 수준이다.
고래자리 카파¹는 약 9일에 한 번 자전하는데, 이는 태양보다 빠른 속도이다. 이를 통해 고래자리 카파¹이 수억 년 정도의 나이를 가진 비교적 젊은 별임을 알 수 있다. 표면의 흑점으로 인해 밝기가 주기적으로 변하며, 자전 주기도 약간씩 다르게 측정된다. 흑점은 위도 10°에서 75°까지 분포하며, 이는 우리 태양에서 관측되는 현상과 유사하다.
최근 가설에 따르면, 태양과 비슷한 별에서 발생하는 강력한 플레어는 별 주위를 도는 목성형 행성의 자기장과 항성의 자기장이 상호작용한 결과라고 한다. 태양과 비슷한 별들에서 태양 플레어보다 최대 1000만 배 강력한 슈퍼플레어 현상이 나타나는데, 이때 항성 밝기는 순간적으로 20배까지 증가한다. 고래자리 카파¹에서도 슈퍼플레어가 관측되었는데, 태양의 코로나 질량 방출보다 108 ~ 109배 많은 에너지를 방출했다.[24]
고래자리 카파¹의 자기장 활동은 과거 젊은 지구에 태양이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연구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특히, 약 8억 년 전의 고래자리 카파¹은 지구에 생명이 탄생하던 시기의 태양과 비슷한 환경을 가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3. 1. 항성풍
고래자리 카파¹의 항성풍은 태양풍보다 훨씬 강력하며(질량 방출률이 태양의 약 50배), 이는 주변 행성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2016년 연구에 따르면, 고래자리 카파¹의 평균 자기장 강도는 24G, 최대값은 61G이다.3. 2. 자외선 방출
고래자리 카파¹의 자외선은 근자외선 영역에서는 현재 태양보다 수십 퍼센트 약하고, 원자외선 영역에서는 현재 태양보다 수 배 강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따라서 그 나이대의 지구 대기를 고려할 때, 현재 태양의 모습으로부터 이론적으로 예상한 것보다 강한 고에너지 방사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4. 우주 속도 및 운동 성단
고래자리 카파¹의 공간 속도 구성 요소는 (U, V, W) = (−22.41, −4.27, −5.32) km/s이다. 이 별이 특정 운동성단에 속해 있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과거 바다뱀자리 운동성단의 일원일 가능성이 제기되었으나, 이후 태양 근방의 젊은 운동성단 구성원을 조사한 결과 고래자리 카파¹는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5. 명칭
중국에서는 고래자리 카파¹별을 "둥근 곡창"을 의미하는 天囷이라는 별자리의 구성원으로 보았다. 고래자리 카파¹별 자신은 天囷二|천균이중국어로 불렸는데, 이는 천균의 2번째 별이라는 뜻이다.
참조
[1]
논문
Appendix: Report of the Working Group on Flare Classification
1957
[2]
문서
出典での表記は、
[3]
웹사이트
kap01 Cet -- Variable of BY Dra type
https://simbad.u-str[...]
ストラスブール天文データセンター|CDS
2019-02-10
[4]
웹사이트
kap02 Cet -- High proper-motion Star
https://simbad.u-str[...]
CDS
2019-02-19
[5]
논문
変光星総合カタログ|General Catalogue of Variable Stars
2009-01
[6]
서적
The HIPPARCOS and TYCHO catalogues. Astrometric and photometric star catalogues derived from the ESA HIPPARCOS Space Astrometry Mission
ESA Publications Division
1997
[7]
논문
Evolution of the Solar Activity Over Time and Effects on Planetary Atmospheres. II. κ1 Ceti, an Analog of the Sun when Life Arose on Earth
2010-05
[8]
논문
Differential Rotation of the Active G5 V Star κ1 Ceti: Photometry from the MOST Satellite
2004-12
[9]
논문
The Differential Rotation of κ1 Ceti as Observed by MOST
2007-04
[10]
논문
Far-Ultraviolet Emissions of the Sun in Time: Probing Solar Magnetic Activity and Effects on Evolution of Paleoplanetary Atmospheres
2003-09
[11]
논문
The Physical Basis of Luminosity Classification in the Late A-, F-, and Early G-Type Stars. I. Precise Spectral Types for 372 Stars
2001-04
[12]
웹사이트
Sun Fact Sheet
https://nssdc.gsfc.n[...]
NASA GSFC
2019-02-21
[13]
논문
Hot Jupiters and Hot Spots: The Short- and Long-Term Chromospheric Activity on Stars with Giant Planets
2005-04
[14]
논문
Magnetic Field and Wind of Kappa Ceti: Toward the Planetary Habitability of the Young Sun When Life Arose on Earth
2016-03
[15]
논문
Magnetic activity of six young solar analogues I. Starspot cycles from long-term photometry
2002-10
[16]
논문
Chromospheric variations in main-sequence stars
1995-01
[17]
논문
A "Helium Flare" on the active G5 dwarf Kappa Ceti
1987
[18]
논문
Superflares on Ordinary Solar-Type Stars
2000-02
[19]
논문
The Lick Planet Search: Detectability and Mass Thresholds
1999-12
[20]
논문
The X-Ray Sun in Time: A Study of the Long-Term Evolution of Coronae of Solar-Type Stars
1997-07
[21]
논문
Late-type members of young stellar kinematic groups - I. Single stars
2001-11
[22]
웹사이트
中國古代的星象系統 (72): 胃宿天區
http://aeea.nmns.edu[...]
国立自然科学博物館
2019-02-23
[23]
간행물
태양계 근처 태양과 닮은 젊은 별들의 분광학과 측광학(Spectroscopy and Photometry of Nearby Young Solar Analogs)
E. J. Gaidos, G.W. Henry, S.M.Henry
2000
[24]
간행물
평범한 태양형 항성들의 슈퍼플레어(Superflares on Ordinary Solar-Type Stars)
B. E. Schaefer, J.R. King, C.P. Deliyannis
2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